카테고리 없음

2011년 9월29일 Facebook 이야기

한글빛 2011. 9. 29. 23:59
  • 나도 예전 광화문 한글현판을 다시 보고 싶다.
    news.kukinews.com 
    image
  • 새 김찬 문화재청장은 문화부 직원이 승진해서 청장이 된 처음 청장이라고 한다. 지난날 정치 배경으로 정치꾼 교수들이 문화재청장을 했다. 이제 지난날 청창들보다 좀 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길 간절하게 바란다.
    news.kukinews.com 
    image
  • 지금 광화문에 걸린 현판은 원형을 복원한 것이 아니다. 일본에 있는 일제 시대 찍은 조그맣고 흐릿한 사진을 구해다가 잘 보이지 않는 곳은 다시 칠한 뒤에 디지털 복사한 뒤에 본을 떠서 덧칠한 모조품이다. 한마디로 짝 퉁이다. 이것은 역사를 조작한 것이고 죄악이다. 원형복원도 아니면서 원형복원이고 옛 문화재인 것처럼 국민과 세계인을 속였기 때문이다. 그것도 세 달도 안 되어 금이 가서 다시 만든다고 한다. 이 현판을 단 담당자와 관계자는 처벌해야 한다.
    article.joinsmsn.com  
    금간 광화문(光化門) 현판을 다시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이 참에 글씨 자체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서예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광화문 현판은 1866년 고종 중건 당시 영건도감(營建都監·조선시대 국가적인 건축공사를 
  • 지금 광화문에 걸린 현판은 원형을 복원한 것이 아니다. 일본에 있는 일제 시대 찍은 조그맣고 흐릿한 사진을 구해다가 잘 보이지 않는 곳은 다시 칠한 뒤에 디지털 복사한 뒤에 본을 떠서 덧칠한 모조품이다. 한마디로 짝 퉁이다. 이것은 역사를 조작한 것이고 죄악이다. 원형복원도 아니면서 원형복원이고 옛 문화재인 것처럼 국민과 세계인을 속였기 때문이다. 그것도 세 달도 안 되어 금이 가서 다시 만든다고 한다. 이 현판을 단 담당자와 관계자는 처벌해야 한다.
    article.joinsmsn.com  
    금간 광화문(光化門) 현판을 다시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이 참에 글씨 자체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서예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광화문 현판은 1866년 고종 중건 당시 영건도감(營建都監·조선시대 국가적인 건축공사를 
  • 지금 광화문에 걸린 현판은 원형을 복원한 것이 아니다. 일본에 있는 일제 시대 찍은 조그맣고 흐릿한 사진을 구해다가 잘 보이지 않는 곳은 다시 칠한 뒤에 디지털 복사한 뒤에 본을 떠서 덧칠한 모조품이다. 한마디로 짝 퉁이다. 이것은 역사를 조작한 것이고 죄악이다. 원형복원도 아니면서 원형복원이고 옛 문화재인 것처럼 국민과 세계인을 속였기 때문이다. 그것도 세 달도 안 되어 금이 가서 다시 만든다고 한다. 이 현판을 단 담당자와 관계자는 처벌해야 한다.
    article.joinsmsn.com  
    금간 광화문(光化門) 현판을 다시 만들기로 했다. 그런데 이 참에 글씨 자체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서예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광화문 현판은 1866년 고종 중건 당시 영건도감(營建都監·조선시대 국가적인 건축공사를 
  • 지금 걸려있는 광화문 현판은 원형복원도 아니고 짝퉁이다. 그리고 세 달도 안 되어 금이 가서 땜질한 것이다. 이것은 나라 망신이고 나라돈을 날린 큰 잘못이다.
    bbs1.agora.media.daum.net  
    2억원이란 국민 혈세를 들여서 만든 광화문 현판이 두 달만에 금기 갔습니다.그래서 다시 만든다고 합니다. 1000년을 가야할 문화재를 이렇게 ... 
  • 세종대왕이 아니었으면 오늘날 우리나라가 이렇게 발전할 수 없습니다. 세종대왕의 은혜를 알아야 합니다.
    newslink.media.daum.net  
    [티브이데일리 곽현수 기자] 배우 한석규가 세종대왕에 대한 이색적인 해석을 내려 눈길을 끈다.29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논현동 임페리얼 팰리스 호텔에서는 SBS 새 수목드라마 
    image
  • 101 번째 경술국치일

    오늘은 온한(101) 번째 맞이하는 경술국치일이다.
    흔히 말하는 “한일합병韓日合倂”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 생각을 하노라니 일제한테 우리나라를 송두리째 강탈강하고 지배당하기 시작 했던지 한 세기도 더 지났다.
    혹독한 탄압에 시달렸던 지난날을 생각하면, 이미 광복이 되어서 자주자립하는 독립국가를 이룩하며 살면서도 천추에 맺힌 한은 풀을래야 풀을 수 없는 감정을 억누르며 살지 않으면 안 되는 지경이 되었다.
    겨레를 아끼고 사랑하며 줏대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각 분야에서는 물론이고 특별히 자기가 주장하는 목표를 향하여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겨레도 앞날이 밝아오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 정치나 경제나 사회나 문화, 교육, 종교를 비롯한 모든 분야가 다 그렇다.
    환경문제나 독도를 지키기,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달자거나, 우리말 우리 얼을 지키는 것도 마찬가지이리라.
    하나도 소홀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말은 누구나 한다.

    오늘 101 번째 경술국치일을 생각하며 일제가 만든 말들을 우리식으로 바로잡는 일도 곁들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몇 자 적는다.
    “한일합병韓日合倂” 이라는 말은 일제가 우리나라와 합병을 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말을 만든 속셈은 누가 들어도 보기 좋게 미화시켜서 만들어낸 말이다.
    그러나 저들이 얄팍하게 만든 말을 이제는 버릴 때가되었다.
  • 어디 그뿐이라!
    ‘한일합병’, ‘을사보호조약’, ‘이조’, ‘민비’도 마찬가지다.
    그러한 표현을 “경술국치”나, “을사늑약”이나 “이씨조선”이나 “명성황후”로 바꿔서 써야 함은 물론이다.

    낱낱이 가리려면 끝이 없다.
    그러한 말들은 저들이 우리를 얕잡아보고 비하시켜서 썼던 말이다.
    우리가 흔히 쓰던 화교라든지 쪽발이라든지 왜구라고 하는 표현과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