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2년 4월26일 Facebook 이야기

한글빛 2012. 4. 26. 23:59
  • 오늘 날씨가 참 좋았습니다. 광화문 앞에서 아침부터 외국 관광객과 우리 학생들이 많이 왔습니다. 광화문은 우리 얼굴입니다.
    image
  • 경복궁 안에도 청와대 앞에도 중국 관광객이 들끌었습니다. 날씨도 좋고 아름답다고 좋아했습니다.
    image
  • 옛 집현전 터에 있는 수정전 앞입니다. 우리 학생들과 중국 관광객이 많았습니다. 다행스럽게도 한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이곳이 집현전이 있었던 곳이며 세종의 발길이 서린 곳이라고 학생들에게 알려주었습니다. 그런 설명을 해줄 조그만 알림글이라고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습니다.
    image
  • 제가 광화문 현판 글씨 공청회 때 이곳에 매점은 만들어놓고 한글이 태어난 곳이라는 알림판 하나 없다고 말한 일이 있는 데 이렇게 말끔하게 그 매점은 치운 것을 오늘 확인했습니다. 이제 여기에라도 한글과 세종 이야기를 써논 표지판이라도 만들어 놓고 중국, 일본 들 외국 관광객과 학생들에게 이야기 거리가 되게 해주면 좋겠습니다.
    image
  • 오늘 날씨도 좋고, 경회루가 더욱 아름답고 평화로워보였습니다. 꽃피고 새싹이 나는 이 봄에 광화문 광장에서 세종문화잔치도 하고 경복궁을 보여주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image
  • 오늘 경복궁 안에는 외국 관관객과 우리 학생들도 꽉 차 있었습니다. 중국 산동성에서 온 대학생도 있고, 그 밖에 중국 여러 곳에서 온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들에게 한국의 자존심과 자긍심인 한글을 보여주면 얼마나 좋을까 안타까웠습니다.
    경복궁 안에도 청와대 앞에도 중국 관광객이 들끌었습니다. 날씨도 좋고 아름답다고 좋아했습니다. 
    image
  • 우리가 마음을 어찌 먹고, 어떻게 하는 가에 따라서 우리 모습도 바뀝니다. 이 아름다운 나라, 우리나라 더욱 멋있고 아름답고 가꿉시다. 만듭시다.
    광화문과 경복궁의 우리 얼굴입니다. 나라 안팎 사람들이 다 찾는 곳입니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경복궁 장독대입니다. 지난 해에도 없던 것인데 오늘 보니 만들었더군요. 아마 옛날보다 더 좋게 만들었을 거로 보입니다. 장독도 더 좋은 것으로... 아무튼 우리 문화를 알리는 곳이라 생각되었습니다.
    image
  • 봄날이지만 하늘도 가을처럼 맑았습니다. 중국 흙먼지 때문에 보그 드문 날이었습니다. 집현전 터에 매점이나 만든 것을 내가 혼내준 일이 있는데 그걸 철거했다고 어느 분이 알려주어서 확인하려고 경복궁에 갔더니 날씨가 좋아서 보기 드문 아름다움을 느꼈습니다.
    image
  • 아직 수정천 앞의 철골 가게는 그대로 있었습니다. 철거하기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아쩌면 매점 계약을 몇 년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세종이 업적을 남긴 아무런 알림글을 만들라는 소리는 듣지 않고 이런 시설이나 한 문화재청은 반성해야 합니다. 광화문에라도 한글 문패를 달고 세종과 한글 자랑을 하자고 해도 안된다면서 영어로 드링크, 카페라는 알림글을 쓴 가게는 만든 사람들이 문화재 전문가라고 나서는 것은 스스로 반성해야 할 일입니다.
    image
  • 저기 보이는 기와집은 집현전 터에 있는 수정전입니다. 오늘 저는 그래도 꿈을 가집니다. 수정전 앞에서 학생들을 이끌고 온 선생님이 이 곳이 옛 집현전 터다. 여기는 세종과 집현전 선열들의 얼이 서린 곳이라고 설명하는 것을 옆에서 듣고 눈물이 날 번 했습니다. 아무 표가 없는데 선생님이 애들에게 가르치고 있었습니다.
    아직 수정천 앞의 철골 가게는 그대로 있었습니다. 철거하기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아쩌면 매점 계약을 몇 년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세종이 업적을 남긴 아무런 알림글을 만들라는 소리는 듣지 않고 이런 시설이나 한 문화재청은 반성해야 합니다. 광화문에라도 한글 문패를 달고 세종과 한글 자랑을 하자고 해도 안된다면서 영어로 드링크, 카페라는 알림글을 쓴 가게는 만든 사람들이 문화재 전문가라고 나서는 것은 스스로 반성해야 할 일입니다. 
    image
  • 저는 미칠 전 공청회에서 광화문 문패를 한글로 달자는 주제 발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한자쪽 패거리들이 한글과 한자 싸움판으로 만들었습니다. 저는 그 아수라장을 수습하고 공청회를 잘 마치려고 애썼습니다. 그런데 신문과 방송, 그리고 문화재청도 한글쪽이 그렇게 만든 것처럼 보도하고 알고 있어서 분통이 터졌습니다. 그날 저는 세종이 한글을 만들고 반포한 근정전 담, 집현전 터에 중국이나 우리 학생들에게 한글 태어난 곳이라는 알림글은 만들지 않고 이런 매점이나 만드는 문화재청과 문화재위원들이 하는 짓은 꾸짓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이 그 매점이 없어졌다고 알려주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가보니 깨끗하게 사라졌더군요. 조선일보와 언론은 그런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는 한마디도 안하고 싸움판으로만 보도하고 있습니다.나는 더러운 놈들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집현전 터에 있는 매점, 경복궁 안 어디에도 한글이 태어난 곳이란 알림글이 없다. 
    image
    이곳은 집현전 터 앞입니다. 여기에 세종대왕와 집현전 학자들 발길이 서린 곳이며 한글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란 손바닥만한 표지석도 만들지 않고 매점이나 만들었다고 제가 광화문 현판 공청회 때에 따졌는데 오늘 보니 말끔하게 치웠더군요.
    image
    이곳은 집현전 터 앞입니다. 여기에 세종대왕와 집현전 학자들 발길이 서린 곳이며 한글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란 손바닥만한 표지석도 만들지 않고 매점이나 만들었다고 제가 광화문 현판 공청회 때에 따졌는데 오늘 보니 말끔하게 치웠더군요.
  • 요즘 새로 만든 장독대입니다. 문패는 한자이지만 우리 모습으로 보여 좋습니다. 중국도 술독은 많이 있지만...
    image
  • 나를 아는 얼벗들에게 보여줄려고 중국 관광객을 피해서 푸른 봄하늘 아래 보이는 푸른집 사진을 찍었습니다. 저 집도 옛 광화문처럼 철근콘크리트집입니다. 산업화 시대 유적이 될 것입니다.
    image
  • 꽃밭에 있는 광화문입니다. 이 나라를 꽃나라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중국, 유럽, 인도, 터키, 인본에 견주어도 우리에겐 보여줄 것이 마땅치 않습니다. 꽃이라도 많이 심어서 자랑하면 어떨지요?
    image
  • 오늘 광화문 앞에는 미국, 중국 관광객이 많이 있었습니다. 광화문 문패를 한글로 달고 이 문 안에서 저 세종이 많은 업적을 남겼고, 한글이 태어났다고 알려주면 얼마나 좋을까 안타까웠습니다. 제가 갔을 때 정부기관에 온 서양 손님으로 보이는 이들이 광화문에 내렸는데 인솔자가 별 설명이 없이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광화문 앞에 관광차를 세우는 것을 보니 귀빈으로 보였습니다.
    image
  • 경복궁 안에 있는 민속박물관 건물입니다. 이렇게 볼 때는 김일성 궁전 같습니다. 옆에서 보면 일본 건축물 같습니다. 그러나 신라 때 건물인 법주사 팔상전을 본딴 것이랍니다. 그런데 문화재 전문가란 놈들은 1968년에 지은 광화문은 나무로 지은 조선시대 건물로 보이는데도 세멘트라고 때려부셨습니다. 그리고 그 보다 몇 십배 큰 이 건물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그들은 경회루와 세종대왕릉에서 프로판까스통을 갔다놓고 고기를 구어먹었답니다.
    image
  • 오늘 날씨 참 좋았습니다. 오늘 아침 하늘이 가을보다 더 맑았습니다. 아침부터 중국 관광객과 학생들이 들끌었습니다.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