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3년 3월5일 Facebook 이야기

한글빛 2013. 3. 5. 23:59
  • 정보통신 교육을 학교 정규 과목으로 정해야 합니다.누리통신(인터넷)을 처음 시작하던 1990년대엔 우리나라가 정보통신 선진국이고 강국이라고 말한 일이 있습니다. 한글이 셈틀과 딱 맞기에 그랬고 정부가 그 누리통신망을 까는 등 투자를 많이 해서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자꾸 정보통신 기술이 뒤처지고 누리통신 경쟁에서 밀리고 있습니다. 왜 그렇게 되었나요?



    cafe.daum.net  
    한말글문화협회 받 음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김용준 위원장 맡 음 교육과학분과 간사 제 목 미래 과학 발전을 위한 교육 개혁 제안  
  • 이 나라는 영어 식민지가 되고 있다. 참으로 안타깝다. 왜 100년 전에 이 나라를 왜놈들에게 빼앗겼는지 알 거 같아서다.
    마음 속 감동의 영상제작소, [문화창작집단]장스프로덕션에서 세상에 없던 새로운 연결, 한글 인터넷 주소 '넷피아(Netpia)'가 참여한 학술 토론회 축사(민주당 전병헌 의원) 교육영상(강의,세미나)을 제작하였습니다. 2013년 1월 25일(금)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글인터넷주소... 
  • 숭례문을 다시 지었지만 국보1호라는 것이 마땅치 않다.
    나는 일찍이 국보1호를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으로 하자고 했었다. 남대문이 국보 1호인 것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불타버린 숭례문을 245억 원을 들여서 다시 지었다. 봄에 보여줄 것이다. 그게 국보1호란 것이 어쩐지 찜찜하다. 
    image
  • 한자로 大雄殿(대웅전) 法堂(법당)이라고 안 쓰고 한글로 법당이라고 쓰니 참 좋다. 광화문 현판도 그렇게 하라. 겨레의 앞날이 밝아질 것이다.
    광능 수목원이 있는 봉선사에 가면 대웅전大雄殿이 아니고 '큰법당'이라고 써 있다. 이 사진은 속리산 신흥사 위 쪽에 있는 조그만 절이다. '법당'이라고 한글로 쓰면 얼마나 좋은가? 
    image
  • 난 언제까지 대한민국 국회 문과 얼굴에 이런 걸 달고 있을 지 볼 것이니라!
    국회에 갈 때마다 정문에 붙어 있는 이 글씨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걸 한글로 바꾸려고 애쓰던 노회찬 의원이 이제 국회를 떠나게 되었다는 편지를 보냈다. 누가 이 보기싫은 꼴을 지워줄 것인가? 
    image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일제 때 한글사랑 운동을 하던 정신과 의식을 되찾가 바랍니다.
    1933년 한글날 동아일보는 한 면을 모두 한글날 관련 글과 기사를 실었습니다. 잘한 일입니다. 왜정 때도 그런 동아일보가 오늘날 한글날에 관련 기사를 한 줄도 안 냅니다. 안타깝습니다. 
    image
    1933년 한글날 동아일보는 한 면을 모두 한글날 관련 글과 기사를 실었습니다. 잘한 일입니다. 왜정 때도 그런 동아일보가 오늘날 한글날에 관련 기사를 한 줄도 안 냅니다. 안타깝습니다.
  • <아구→아귀, 설농탕→설렁탕, 부페→뷔페> 
     
    ○ 아구→아귀 
    음식점에서 흔히 "아구찜", "아구탕"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때의 "아구"는 "아귀"를 잘못 쓴 것이다. "아귀"는 아귓과의 바닷물고기로서, 이를 "아구"라 부르는 것은 표준말이 아니다. 따라서 "아구찜", "아구탕"은 "아귀찜", "아귀탕"으로 바로잡아 써야 한다. 
    ○ 설농탕→설렁탕 
    "설렁탕"이 표준말이다. 본디 이 말은 한자의 취음이란 설이 유력한데, 그에 따르면 "선농탕(先農湯)"이 "설농탕(雪濃湯)"으로 변하였다가 다시 현대에 와서 "설렁탕(-湯)"으로 우리말화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설농탕"은 어원으로서의 표기일 뿐 표준말이 아니니, 이와 같이 쓰면 잘못이다. 
    ○ 부페→뷔페 
    직접 가져다 먹는 방식의 음식점을 뜻하는 프랑스말 'buffet'[by'fε]는 "부페"가 아니라 "뷔페"([by]→뷔)로 옮겨 적어야 한다. 외래어 표기법의 국제 음성 기호(앞의 [ ] 부분)와 한글 자모음의 대조표에 따르면, [y]는 'ㅟ'로 옮겨 적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문단에 처음 나오거나 연예계에 처음 나올 때에 쓰는 프랑스말 'debut'[de'by]도 한글로 옮겨 적을 때에는 "데뷔"이지 "데뷰"가 아니다. ▣ 
    image
  • 방귀깨나 뀌는 사람들이 
    '힐링 힐링' 하니까 
    그동안 써왔던 한자말 '치유'는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 않네요. 
     
    우리말  
    '고침'이나 '달램'이나 
    '어루만짐'이나 '얼싸안음'이나 
    '헤아림'이나 
    '보살핌'은 
    언제나 쓸지 두고 봅니다. 
    image
  • 나도 안교수 출마 반대다.
    media.daum.net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 측은 4월 재보궐선거에서 후보 단일화에 나서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안 전 교수의 측근인 송호창 무소속 의원은 5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금까지 야권은 대안과 비전이 아닌 반여(反與) 후보 단일화에 모든 것을 건 '반대의 연합'을 통해 유권자의 선택을 요구했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더 이상 새로운 정치도, 거대여당을 뛰어넘는 대안세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