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3년 9월25일 Facebook 이야기

한글빛 2013. 9. 25. 23:59
  • 제주도 사시는 김양희 얼벗이 만든 녹차인데 은은하니 좋군요.
  • 오늘 마즈막 연휴 이네요 그동안 추석연휴 잘 보내고 게시지요?오늘은 날씨가 약간 더운듯 하지만 그래도 산과 들로 나가면 온 들판이 황금물결로 일렁이는 완연한 가을 입니다,가가운 야외라도 한번 나가보세요 저도 조금있다가 황금물결을 따라 안동사범대학에 다니는 아들녀석 데려다주러 안동으로 출발 합니다,마즈막 휴일 잘 보내시고요.사진은 마이산의 가을 입니다. 
    image
  • www.urimal365.kr  
    자음 글자 이름의 첫 음절은 모두 ‘해당 글자+ㅣ’ 형태입니다. 둘째 음절은 대개 ‘으+해당 글자’ 형태이지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르게 된 것은 에서 비롯합니다. ‘ㄱ’은 ‘其役’, ‘ㄴ’은 ‘尼隱’, ‘ㄷ’은 ‘池末’, ‘ㄹ’은 ‘梨乙’, ‘ㅁ’은 ‘眉音’, ‘ㅂ’은 ‘非邑’, ‘ㅅ’은 ‘時衣’, ‘ㆁ’은 ‘異凝’ 등과 같이 나타내었습니다. 
    image
  • 누리통신과 문서편집기가 영어와 미국 회사에서 벗어나 한글과 우리나라 회사가 이끌 수 있게 되길 바라고 빕니다.
    한글로 누리통신을 쉽게 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려고 애썻다. 
    image
  • 나는 수십 년 동안 국회 휘장과 깃발과 국회의원 가슴에 단 보람(뱃지)에 쓴 國 자를 한글로 '국회'라고 바꾸자고 건의하고 주장했다. 그러나 왜 한글로 바꾸지 않는지 모르겠다.
    cafe.daum.net  
    ■ 우리 주장 국회의 새 보람엔 ‘국회’를 넣자 지난 8월 30일 국회 사무처는 국회의 보람(badge)을 바꾸겠다고 발표했습니다. 15대 국회 때 , 무궁화 잎에 둥근 원을 넣어 한자로 `國'자를 새긴 현재의 보람 대신 새롭게 만든 몇 가지 안으로 의원들에게 무엇이 더 좋은 지를 조사한 뒤, 그 결과에 따라 보람의 모양을 
  • cafe.daum.net 
  • 우리 국민끼리는 우리 말글로만 지식과 정보를 마음대로 주고받고, 우리 말글로 생각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우리 겨레가 1천5백 년 동안 노력한 일이고 꿈이다. 한문과 중국 문화로부터 해방되는 이 꿈이 이루어지려 하는데 새삼 영어 숭배자들이 우리 말글 독립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있어 가슴 아프다.
    jabo.co.kr  
    왜 쉬운 우리 한글을 안 쓰려고 할까? 이 책을 쓰기로 한 것은 내가 평생 동안 한글사랑운동을 하면서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정리하려는 것이다. 왜 국어운동을 했으며, 그동안 무슨 일을 했는지 정리해서 내 뒤에 이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이를 바탕으로 더 잘 이어가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그리고 국어독립운동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에게 설명하려는 것이고 이 일을 우습게 보는 이들을 깨우치려는 것이다. 나는 고등학교 때부터 한글을 사랑하게 되었고, 대학교에 가서 국어운동학생회라는 모임을 만들어 국어독립운동을 시작해서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