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빛
2006. 5. 23. 08:30
|
 |
"조기 영어교육은 사교육과 교육불평등 초래할 것" |
|
전교조등 교육시민단체, 조기영어교육 반대, 교육부 강행방침 논란
가열 |
|
취재부 |
|
올 9월부터 교육부는 서울과 부산 등 전국 50개
초등학교에서 1, 2학년을 상대로 조기 영어교육을 시범 실시하기로 하면서 조기 영어교육를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아래 전교조)는 초등 영어교육 도입 이후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공식 평가도 없이 이를 초등 1, 2학년까지
확대하려는 교육부의 정책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교육부는 시범학교 운영 작업을
계속 추진하여 초등 1, 2학년 영어교육 실시를 위한 전국 50여 개의 초등학교 명단을 23일에 발표를 한다고 한다.
교육부는
"국제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영어는 필수가 됐고, 조기 교육이 효과가 높다"는 입장이다.
|
▲ 교육 시민단체는 22일 오전 정부종합청사 후문 앞에서
조기 영어교육도입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초등 1, 2학년의 영어교육을 반대했다. © 대자보
| 교육부 김천홍 영어교육혁신팀장 "사교육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층 아동에게
교육 기회 평등성을 보장하는 차원에서도 학교에서의 조기 영어교육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초등학생 1,2학년 학생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영어 과외를 받는 현실에서 사교육을 학교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전교조와
참교육학부모회, 국어단체연합,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등 교육 시민단체는 22일 오전 10시 30분 정부종합청사 후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기 영어교육의 확대는 사교육을 부추겨 유치원부터 영어교육을 과열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현재 진행
중인 초등의 영어교육은 사교육비를 폭등시키고, 지역간·계층간 교육불평등을 확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초등의 정상적인 교육과정은 물론 유아교육까지
심하게 왜곡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모국어 교육 위축, 언어 혼란에 이어 정체성의 혼란까지 이어지고 있고, 초등 영어교육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도 없이 이를 초등 1, 2학년까지 도입하는 것은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교조 장혜옥 위원장은 "기초교육과 인성교육마저 파행으로 몰고 갈 초등 1,
2학년 영어교육 도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교육부의 방침에 반대입장을 밝혔다.
또 서울 유현초등학교 허영주 교사는
"초등학교 1, 2학년은 국어 받아쓰기와 글쓰기를 익히는 시기인데 영어 교육의 효과도 없이 영어교육을 확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이대로 공동대표는 "현재 영어회화를 제대로 못하는 영어교사들이 많다. 그 이유는 입시교육 위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졌기 때문인데 준비도 안하고 무조건 어린아이들에게 영어교육을 시키려는 정부와 교육부의 행정을 이해할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교육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초등 1, 2학년 영어교육 확대를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교육
시민단체들은 "실제 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들의 경우 약 51%가 영어교육 도입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도 조사되었는데도 교육부는 '초등 교사들만
반대한다'며 여론을 호도한다"며 "정책을 추진하는 교육부는 일단 진행해보고 문제점이 있다면 그때 가서 개선해보겠다는 무책임하고 반교육적인 소리만
하고있다"고 교육부를 비판했다.
또한 시민단체는 "우리말과 글 교육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나아가 기초교육, 인성교육마저 파행으로
몰고 갈 초등 1, 2학년 영어교육 도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현행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전면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공교육
정상화, 우리 말 교육의 체계적 실시 방향으로 교육정책을 선회할 것"을 요구했다.
|
▲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이대로 공동대표는 준비안된
영어교육도입에 대해 정부와 교육부 행정을 비난했다. © 대자보
|
이어 전국 15개 지역 총 3133명(3133개교)의 초등 교사들은
'영어교육 도입 중단 촉구 학교대표자 선언'을 했으며, ▲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기초교육, 인성교육을 파괴하고 사교육을 조장하는 초등
1∼2학년 조기영어교육 중단 ▲ 충분한 사전연구와 평가, 논의 없이 추진하는 각 시도 교육청(50개교) 시범학교 선정 중단 ▲현행 초등
3∼6학년 영어교육에 대하여 전면적 재검토 등 세 가지 안을 요구했다. 한편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은 23일 화요일 오후
3시부터 배재대학교 학술지원센터(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건물)에서 "영어 조기교육 시행 9년 평가"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토론회는 이대로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사무총장 사회로 박거용 상명대 영어교육과 교수와 최기호 국어단체연합
회장 등이 나와 영어 조기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집중 토론한다. 다음은 한글단체 등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성명서] 초등학교 영어 교육 확대 방안은 교육과 나라를 망치는 잘못된 교육정책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7년부터 지금까지 10년 가까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부터 영어를 가르쳤다. 그런데 그 영어 조기 교육에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돈과 노력을 들인 것에 비하면 그 성과가 적다. 더욱이 그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철저하고 충분한 준비를 하지 않고 서둘러
강행함으로써 그 부작용이 너무 많이 일어났다. 유치원 학생 때부터 영어 학원과 과외 공부하기 바쁘게 만들었고, 영어
조기 유학을 가는 어린이가 점점 늘어나게 해 사교육비 부담이 늘어났다. 정부와 학교는 말할 거 없고 지방자치단체까지 영어 공부에 많은 예산을
쓰게 만들었다. 이로써 온 나라와 온 국민이 영어 열병에 시달리게 되었다. 그런데 최근 교육부는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영어를 가르치겠다고 한다. 사교육비가 더 늘어나고 영어 열병이 더 심해질 게 뻔하다. 1997년부터 영어 조기 교육을 시행할 때도 충분한
연구와 준비를 하지 않고 강행해서 얻은 것보다 잃은 게 많았는데 또 그런 잘못을 되풀이하려고 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9년 동안 시행한 영어 조기 교육이 성공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영어 교육을 위해서 ‘기러기아빠’로 대변되는 한국적 가정
해체 현상이 광범위하게 일어났고, 영어를 통한 사회 양극화 현상이 일어났으며, 교육비의 증가는 곧 아이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식되어 결국 출산율
세계 최저라는 국가적 위기까지 불러왔다. 또한, 일부 국민의 영어 능력은 향상되었지만 사회의 의사소통은 더욱
어려워졌다. 정부나 기업은 한국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한국 글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한국인을 데리고 일을 하는 처지가 되었다. 그래서 국가
경쟁력은 더욱 낮아지는 추세이다. 영어에 몰입한 교육 정책이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다주었는가? ‘영어 조기 교육’에 우리의 뿌리가 썩고 근본이
흔들리고 있다. 이제라도 정부와 국민은 영어에 대한 환상에서 깨어나자. 이에 우리는 정상적인 영어 교육을 통해서 우리의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리 사회의 의사소통 도구인 우리말 발전을 위해서 정부가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 줄 것을 요구한다.
1. 지난 9년 동안 시행한 영어 조기교육에 대한 반성과 평가부터 철저히 하라. 2.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영어를 가르치겠다는
계획을 당장 취소하라. 3. 중, 고등학교 영어교육부터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라. 4. 영어 열병을 고치는 데 정부와
국민 모두 힘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 5. 준비 덜된 상태에서 한건주의식으로 영어 조기 교육 정책을 세우고 강행한 책임자를
처벌하라. 6. 국어를 비롯한 기초 교육을 더 충실히 할 수 있는 교육 정책을 세우라.
2006년 5월 23일 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회원단체
|
|
|
2006/05/22 [10:11]
ⓒ대자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