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2년 2월27일 Facebook 이야기

한글빛 2012. 2. 27. 23:59
  • 언듯 그럴듯해보이지만 한자와 한글을 같이 쓰는 것은 좋지 않다. 한글로만 쓰는데 세종대왕 때 월인천강지곡이나 훈민정음 해례본 들 한글 글꼴로 집자하던가 다시 써야 한다. 한글이 태어난 경복궁 문인 광화문에 한글현판을 달고 그 역사와 정신을 되살리자는 것이다.
    news.naver.com  
    【서울=뉴시스】신동립의 ‘잡기노트’ <280> ‘광화문’을 바라는 국민이 58.7%다. 지난해 말 문화재청이 조사한 결과다. 반면, 문화재 전문가들은 ‘光化門’ ... 
    image
  • 친구로 받아 주셔서 감사합니다....앞으로 잦은 재잘거림으로 좋은 인연과 소통 부탁 드림니다....
  • 6.25 전쟁 때 폭격으로 불타버린 광화문. 석축만 남았던 것을 1968년에 제자리로 석축을 옮겨서 불에 타지 않는 철근 콘크리트로 다시 지었다.
    image
  • 1968년 폭격과 불에도 끄덕 없이 천 년을 버틸 광화문을 새로 지었다. 임시로 지은 가건물이 아니었다. 겨레가 다시 일어나길 바라는 애국 시민과 한글단체의 건의를 받아들여서 한글현판도 달았다. 1963년 교과서를 일본처럼 한자혼용으로 만들겠다고 해서 민중이 일어났다. 거기에 박통이 무릎을 꿇고 한글살리기 정책으로 갔으며 그 푯대가 광화문 한글현판이었다.
    image
  • 지난해 한글날 저녁 한강에서 한 불꽃놀이 사진입니다. 나는 이 불꽃을 보면서 한글이 불꽃처럼 온누리에 퍼지고 빛나길 빌었습니다.
    image
  • 지난 7년 동안 한글단체는 광화문 한글현판 달기에 많은 시간과 힘을 바쳤습니다. 그동안 애쓴 여러분께 고마운 인사를 드립니다.
    한글단체는 지난 7년 동안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바꿔달라고 수백 번 건의하고 호소하고 방문했습니다. 그 일들을 모아 [광화문 한자현판 반대 투쟁 백서]도 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귀와 눈을 막고 있다가 이제 그 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image
  • 김형배님의 얼숲에 가서 우리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hanmalgeul.kr 
    image
  • 왕희지 놀던 곳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친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