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서라. 제발 아서라. 불장난 자꾸 하면 오줌 싼다. 정신 차려라. 얼 자려라. 일제 교육 노예들아. 지금이 어느 때인지 모르나. 일제 강점기가 아니다.news.naver.com
한글단체들 "시대에 역행" 반발 국립국어원 "국어기본법, 한자어 배제 안해"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추진회)가 22일 ... -
좋은 일입니다. 잘하는 일입니다. 자꾸 개선 발전하기 바랍니다.news.naver.com
다문화교류네트워크, 언어박람회서 첫선 (서울=연합뉴스) 강진욱 기자 = 최근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싸이(PSY)의 노래 '강남스타일'과 태권도를 접목한 ... -
이 어르신들은 오늘날이 일제시대로 알고 있는 거 같습니다. 이제 우리 토박이말로 좋은 시도 쓰고 소설도 쓸 생각을 하시고 노력을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saramilbo.com/sub_read.html?uid=14067§ion=sc1www.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그 나라의 문화는 그 나라 말글로 이루어지고 꽃이 핍니다. 오늘날 우리 문화가 나라 밖으로 뻗어가고 있습니다. 이 문화도 조선시대처럼 한문을 쓰거나 일제 때처럼 한자섞는 일본 말글로 된 것이 아닙니다. 우리말을 우리 글자인 한글로 적는 말글살이가 자리를 잡아서 된 일입니다. 이탈리아는 라틴어로부터 벗어나 이탈리아 말로 단테 신곡을 , 스페인도 라틴어로부터 벗어나 스페인어로 세르반테스 동키호테를 , 영국도 영어로 섹스피어 작품이 나와서 문화강국으로 발돋음했습니다. 이제 우리 말글로 우리가 일어날 때가 왔습니다.www.jemin.com
문화정체성은 문화의 시대를 읽는 키워드 중 하나다. 문화담론의 단골메뉴이기도 하다. 문화정체성은 다시 민족 자긍심으로, 심하면 우월감으로까지 치환되곤 한다. 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우리 문화를 세계에 알린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성장의 디딤돌을 놓는다고 한다. 자연스럽게 문화는 경제논리에 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