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사랑

[스크랩] [외국어 남용 멍드는 한글①]공공기관 홈페이지 외국어 사용 `심각`

한글빛 2015. 11. 4. 08:47

사회
사회일반
[외국어 남용 멍드는 한글①]공공기관 홈페이지 외국어 사용 '심각'
등록 일시 [2014-10-09 12:00:00]       최종수정 일시 [2014-10-09 15:06:45]
【서울=뉴시스】박문호 기자 = 제568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광화문 광장에 설치된 '한글' 조형물 뒤로 세종대왕이 인자한 미소를 짓고 있다. 2014.10.08. go2@newsis.com 2014-10-08

 

【서울=뉴시스】강지혜 기자 = 'Connect Global, Create Future', 'PHOTO GALLERY', 'QUICK MENU', T-price', '익명제보레드휘슬', '방송콘텐츠카달로그'….

우리나라 주요 공공기관 누리집(홈페이지) 첫 화면에 쓰인 외국어다. 국민이 쉽게 공공언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바른 한글 쓰기에 앞장서야 하는 공공기관에서 오히려 외국어를 오·남용하는 사례가 무더기로 드러났다.

한글사용성평가위원회는 지난달 30일 447개 공공기관과 산하기관 홈페이지 화면을 대상으로 한글 사용 실태를 조사한 뒤 "국적 불명의 신조어나 혼합어로 우리 글을 어지럽힌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지적한 외교부 홈페이지 첫 화면에는 '이슈별 자료실', '뉴포커스', 'G20', 'OECD' 등 외국어를 마구 사용했다.

외교부 소식지와 공식 동영상에는 '알go 챙기go 떠나go~ 해외 안전 여행 캠페인 동영상 공개', '너 do 나 do 공공외교 모자이크로 만나다' 등 우리말과 영어를 섞어 쓰며 한글을 파괴했다.

해양수산부 홈페이지에는 'WTO/FTA 소식', '수산물이력제/HACCP소식' 등 로마자로 된 줄임말을 그대로 써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게 했다.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에도 '아시아의 허브, 미래의 중심 새만금', '새만금, 동북아 경제 중심 창조경제 메카로 건설', '글로벌 비즈니스의 허브' 등 영어와 우리말을 무분별하게 섞은 문구를 사용했다.

또 'Why? 새만금!'을 시작으로 '마스터플랜', '新문명 글로벌 시대 선도', '심볼마크', 'home', 'Step1' 등 한글과 로마자, 한자를 기준 없이 사용했다.

잘못된 우리말을 사용한 공공기관 20개에는 교육, 복지와 관련된 기관도 포함돼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소비자원과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외교부, 한국고용정보원, 국회도서관이 여기에 들어갔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국어책임관 제도'라는 제도를 마련했지만 그 역할은 미미하다.

현재 국어책임관은 중앙행정기관(소속기관 포함)에 262명, 지방자치단체에 246명 등 모두 508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공공기관이 홈페이지 문구나 보도자료 등을 작성할 때 국어기본법을 잘 지키고 올바른 용어를 선택하는지 감시할 의무가 있지만 사실상 제 역할을 못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들풀 한글사용성평가위원회 연구실장은 "공공기관과 민간단체, 기업 등의 올바른 언어 사용은 국민과 정확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며 "그런데 공공기관이 지나치게 어려운 용어를 쓰거나 외국어를 함부로 쓰고 한글 맞춤법을 어겨 국어기본법의 정신을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jhkang@newsis.com

출처 : 리대로의 한말글 사랑 한마당
글쓴이 : 나라임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