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일부개정고시안
1. 개정이유
한글 맞춤법과 《표준국어대사전》간의 기술 내용이 일부 일치하지 않아 국민의 어문생활에 혼란이 생김에 따라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한글 맞춤법 규정문을 수정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가. 띄어쓰기 불일치 해소(안 제6항 등)
나. 표현 및 용례 정비(안 제 19항 2 등)
3. 참고사항
가. 관계법령 : 생략
나. 예산조치 : 별도조치 필요 없음
다. 합 의 : 해당기관 없음
라. 기 타 : 신․구조문대비표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 개 정 안 | ||||||||||||||||||||||||||||||
<한글 맞춤법 제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8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11항 붙임3>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연합)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 <한글 맞춤법 제11항 붙임3>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 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 연합) 한시련(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 | ||||||||||||||||||||||||||||||
<한글 맞춤법 제15항 붙임2> [붙임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15항 붙임2> [붙임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18항 6.의 다만> 다만,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18항 6.의 다만> 다만,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19항 2.>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 <한글 맞춤법 제19항 2.>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 ||||||||||||||||||||||||||||||
<한글 맞춤법 제27항 붙임3> [붙임3] ‘이[齒, 虱]’가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날 때에는 ‘니’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27항 붙임3> [붙임 3] ‘이[齒, 虱]’가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 날 때에는 ‘니’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 <한글 맞춤법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 <한글 맞춤법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 ||||||||||||||||||||||||||||||
<한글 맞춤법 제46항>
| <한글 맞춤법 제46항>
| ||||||||||||||||||||||||||||||
<한글 맞춤법 제47항 다만>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책을 읽어도 보고……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 그가 올 듯도 하다. 잘난 체를 하다. | <한글 맞춤법 제47항 다만>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책을 읽어도 보고……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이런 기회는 다시없을 듯하다. 그가 올 듯도 하다. 잘난 체를 하다. | ||||||||||||||||||||||||||||||
<한글 맞춤법 제56항> ‘-더라, -던’과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던’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 | <한글 맞춤법 제56항> ‘-더라, -던’과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던’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 | ||||||||||||||||||||||||||||||
<한글 맞춤법 제57항>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
~ | <한글 맞춤법 제57항> 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
~ |
'한글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4대 국회의원들299명 이름패를 한글로 만들어 주다. (0) | 2017.05.28 |
---|---|
[스크랩] ‘중소벤처기업부’란 정부 기관 명칭은 여러 가지로 적절치 않다. (0) | 2017.05.25 |
2017년 4월 9일 오전 08:54 (0) | 2017.04.09 |
[스크랩] 전 국무촏리 김종필에게 보냈던 공개편지 (0) | 2017.04.08 |
[스크랩] "자치단체 외국어 섬기기, 나라 망할 징조"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