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우 박사 나신 100돌 기념식 |
○때: 2007년 1월 24일 (수요일) 오후 5시
(공병우 박사 나신 날: 음력 1906. 12. 30. / 양력 1907. 1. 24.)
○곳: 한글 회관 얼말글교육관(서울 종로구 신문로1가)
주최: 한글 학회․한글 문화원
주관: 한말글 문화 협회
공 병우 박사 해적이
∙1906. 12. 30.ː 평안북도 벽동군 성남면 남성동 388번지에서 남.
∙1926.ː 평양 의학 강습소를 수료하고, 조선 의사 검정 시험에 합격함.
∙1934.ː 경성 대학 병리학 교실에서 안과 병리를 연구함.
∙1936.ː 해주 도립 병원 안과 과장으로 근무함. 일본 나고야제국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음.
∙1938. 9.ː 공안과 의원을 개원함(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1943. 1.ː《소안과학》를 펴냄.
∙1949. 10.ː 국회 의장상 받음(전국 과학 전람회에 한글 타자기 출품).
∙1949. 11.ː 고성능 한글 타자기를 처음으로 발명함.
∙1950. 3.ː 3벌식 ‘공 속도 한글 타자기’를 최초로 개발하고 3벌식 글씨꼴을 개발함.
∙1954. 6.ː 쌍초점 타자기를 발명함.
∙1956. 10.ː 안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함.
∙1958. 10.ː 대통령 표창 받음(한글 타자기 발명 공로).
∙1959~1977. 재단법인 한글 학회 이사를 지냄.
∙1960. 3.ː 서울맹인부흥원(서울 강동구 성내동)을 설립, 맹인 점자 교육과 한글 타자 교육 실시.
∙1962.ː 한글 학회 부설 한글 기계화 연구소 발족(한글 기계화지 첫 발간). 대통령 표창 받음.
∙1965.ː 한국 콘택트 렌즈 연구소를 설립함. 한국 최초로 약시 검안을 위한 약시부를 신설함.
∙1967. 9.ː 한글 텔레타이프를 개발하여, 한국 치안국과 통신사에 설치 활용하게 함.
∙1968.ː 한‧영 겸용 타자기를 발명함. 공병우 타자기 연구소를 설립함.
∙1968. 10.ː 문화공보부 장관상 받음(한글 전용 공로자상).
∙1971.ː 점자 한글 타자기를 개발함. 중국 주음 부호 타자기를 발명함.
∙1972. 3.ː 한국 맹인 재활 센터를 설립하여, 중도 실명자 재활 교육을 함.
∙1972~1977.ː 한글 학회 정기 간행물《한글 새소식》편집 위원으로 위촉(공 3벌식으로 만듦).
∙1974. 3.ː 외솔 문화상 받음(한글 문화 발전 공로).
∙1975. 10.ː 은장 박애장 받음(대한 적십자사).
∙1978. 5 6.ː《공병우 사진집》을 발간(꽃, 6월의 모습, 나의 사진집, 물, 단풍, 하늘, 습작).
∙1979.ː ‘한‧일 국제 맹인 타자 경기 대회’를 엶. 서울적십자사 총재 표창 받음(모범 납세자).
∙1979. 10.ː 대한 적십자사 총재 표창 받음(특별 회원으로 적십자 사업 발전에 기여).
∙1979. 11.ː 일본 ‘가나’와 로마자 겸용 3단 타자기 발명 특허 등록함(일본국).
∙1980. 1 5.ː 공 병우 사진 전시회를 개최함(서울, 제주, 광주, 부산, 대구 등).
∙1981~1988.ː 미국에서 한글을 컴퓨터화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조국 민주화 운동을 함.
∙1981. 4.ː 국민훈장 석류장 받음(맹인 재활사업 공로).《공병우 사진집》발간.
∙1982.ː 3벌식 한글 전동 타자기를 개발함.
∙1985.ː 매킨토시 컴퓨터로 직결식 한글 폰트를 한국 최초로 개발함.
∙1987. 1.ː 제1회 서재필상 받음(한글 전용, 한글 과학화 연구 및 운동 공로).
∙1988.ː 한글 문화원을 열고 한글전용 운동과 한글 과학화 및 한글 문화 발전 사업에 힘씀.
∙1989.ː 3벌식 한글 전자 타자기를 개발함.
∙1989.ː 공 병우 자서전《나는 내 식대로 살아왔다》(대원사)를 펴냄.
∙1990. 10. 9.ː 은관 문화 훈장 받음.
∙1994. 10. 9.ː 세종 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음.
∙1994. 12.ː 매킨토시용 무른모 한손자판을 개발함.
∙1995. 1.ː《월간 중앙》1월호에 한국을 움직인 100인 중 한 명으로 뽑힘.
∙1995. 3. 7.ː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세상을 떠남. 금관 문화 훈장 받음(3/25 추서).
차례
사회: 김 한빛나리
(한말글문화협회 사무처장)
■ 개식 사회자
■ 고인에 대한 묵념 다 같이
■ 인사 말씀 한글 학회 회장 김 계곤
■ 생전의 말씀(녹음)
■ 해적이 낭독 한글 학회 사무국장 유 운상
■ 추모 말씀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문 제안
■ 추모 강연회
▶ 한글 글자판 통일과 한글 기계화의 미래 한글 문화원 원장 송 현
▶ 인간 공병우와 한말글 사랑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대표 이 대로
■ 유족 인사 공안과 원장 공 영태
■ 폐식
한글 학회․한글 문화원
110-061 서울 종로구 신문로1가 58-14
전화: 02)738-2236∼7․02)2217-9658
http://www.hangeul.or.kr․http://www.moonhwawon.org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 이육사님이 순국하신 곳 (0) | 2007.01.30 |
---|---|
공병우 박사 나신 100돌 기념식 (0) | 2007.01.28 |
대우능 소흥 (0) | 2007.01.07 |
중국 사진 (0) | 2007.01.07 |
일본에 한국어 열심히 알릴 것이다 (0) | 2006.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