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이야기

한글보다 한자와 외국어 더 섬기는 식약처

한글빛 2014. 4. 25. 16:19

식약처는 한자 외국어 대신 한글을 더 섬겨야

1

[임정호 기자] 4 23일 국어문화운동본부(회장 남영신), 한글문화연대(상임대표 이건범),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공동대표 이대로) 들 국어문화운동 단체로 구성된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회장 이대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와 규제개혁위원회(위원장 정홍원 총리)가 어린이들이 주로 사먹는 과자와 라면들 식품 이름을 표기할 때 한글보다 한자와 외국어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식품위생법 제10조 규정을 개정하겠다고 밝힌 데 대하여 강력하게 반대 뜻을 밝혔다. 

이들은 밝힘글에서 정부와 1500여 학술시민단체가 한자와 외국어에 치어 죽을 위기에 처한 우리 말글을 지키고 바르게 쓰자고 언어문화개선 운동을 하는 마당에 이런 방침을 내 논 것은 그 국민운동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다.” 면서 평소 일본식 한자혼용을 획책하던 농심과 한글을 못살게 굴던 일부 한자와 외국어 숭배자들이 한글을 짓밟고 우리 말글살이를 어지럽게 만들려는 불순한 생각에서 이런 잘못된 방침을 내놓았다고 꼬집었다.

지난날 일본식 한자혼용을 주장자들을 돕는 농심은 상표 등록이란 꼼수를 내세워 한글을 크게 쓰기로 한 규정을 어기고 이 회사의 사장 성씨 한자 자를 더 크게 쓰는 잘못을 저질러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방침대로 시행이 되면 한자와 영어는 말할 것이 없고 일본 글자까지도 한글보다 더 크게 쓰게 될 것이며 우리 말글살이는 더 어지럽게 될 것이 뻔하다. 그래서 이 모임은 규제개혁위원회(공동 위원장 정홍원 국무총리)와 식품의약안전처( 처장 정승) 식품이나 의약품 안전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되고, 우리 말글을 짓밟고 학생들 국어 교육과 국민 국어 생활을 혼란케 만들 매우 잘못된 정책이므로 당장 이 방침을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는 항의문을 전달했다. 그리고 만약 이 방침을 철회하지 않으면 한글보다 한자를 더 크게 쓰는 농심 제품 불매운동도 벌이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을 우리말 헤살꾼으로 뽑을 것임도 밝혔다.

 

[밝힘 글]

식약처는 한글보다 한자나 외국어를 더 섬기지 말라! 

지난 4 13일 조선일보는 “13일 규제개혁위원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약처는 식품의 제품명에 한해 한자나 외국어를 한글 활자크기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식품위생법 제10조 규정에 따른'식품 등의 표시기준'을 개정할 방침이다.”라고 알리고 있다. 이 방침이 실현된다면 가게나 대형매장,길거리, 가정 등에 온통 영어나 한자, 일본 글자가 넘쳐날지도 모른다.

그런데 오늘날 정부 문화융성위원회와 1500여 시민학술단체들은 우리 말글이 외국어에 밀려 어려운 처지에 놓이고 학생들이 욕설을 많이 하는 등 우리 말글살이가 어지러워서 언어문화개선범국민연합을 만들어 우리 말글을 지키고 바르게 쓰려고 애쓰고 있다. 식약처와 규제개혁위원회의 방침은 범국민적인 언어문화개선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꼴이다.

지난날 배우고 쓰기 쉬운 세계 으뜸 글자인 한글은 한자에 밀려서 제 빛을 보지 못하다가 국어단체와 정부 노력으로 이제 우리나라 글자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데 영어가 밀려와 우리 한글은 위기를 맞이해서 정부와 국민이 일어난 것이다. 그런데 우리 한글을 우습게 여기는 일부 식품회사가 언어문화개선운동을 가로막고 있으니 기가 막힌다.

그렇지 않아도 지난날 일본식 한자 혼용을 획책하는 농심이 상표등록이란 꼼수로 라면 제품에 그 회사 대표 성씨 글자와 똑같은 ''이라는 한자를 한글로 크게 씀으로써 정부 규정을 비웃고 있었는데 이제 규제개혁이란 이름으로 모든 식품에 한자와 영어를 더 크게 써서 우리 한글을 짓밟고 말글살이를 어지럽히려고 하고 있다.

이에 우리 국어단체들은 이번 식약처와 규제개혁위원회 방침은 우리 말글을 짓밟고 학생들 국어 교육과 국민 국어 생활을 혼란케 만들 매우 잘못된 정책이므로 강력하게 반대함을 밝히면서 당장 이 방침을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

2014 4 23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 회장 이대로

 

함께하는 단체: 국어문화운동본부, 세종대왕나신곳찾기모임,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전국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 한글문화연대, 한글문화연구회, 한말글이름을사랑하는사람들, 한글빛내기모임, 한글이름펴기모임, 한류문화산업포럼, 훈민정음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