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02

김종필과 이희승은 왜 일본식 한자혼용 앞잡이가 되었을까?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402&section=sc16&section2= [대자보] 한글전용 반대, 한자혼용 뒤에는 일본이 있다 광복이 되고 미국 군정 때부터 한글로 교과서를 만들고 공문서를 썼다. 그리고 조선어학학회를 중심으로 겨레를 사랑하는 분들은 일본이 못쓰게 한 우리 터박이말을 살려서 쓰고 일본 한자말을 www.jabo.co.kr 한글전용 반대, 한자혼용 뒤에는 일본이 있다 [한글 살리고 빛내기29] 김종필, 이희승이 한글을 못살게 군 까닭이 무었을까? 리대로 광복이 되고 미국 군정 때부터 한글로 교과서를 만들고 공문서를 썼다. 그리고 조선어학학회를 중심으로 겨레를 사랑하는 분들은 일본이 못쓰게 한 우리 터박이말을 살려서 쓰고 일본 한자말을 쓰지 ..

카테고리 없음 2021.06.28

한글과 한자가 피터지게 싸우는 문자전쟁 시작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95&section=sc16&section2= [대자보] 한글과 한자가 피터지게 싸우는 문자전쟁 시작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이 1970년부터 한글전용 정책을 강력하게 펼치겠다고 발표했을 때에 나는 기뻤고 앞으로 그 정책이 잘 시행될 것이라 믿었다. 정부가 국민의 소리를 귀담아 듣고 정책에 반영 www.jabo.co.kr 한글과 한자가 피터지게 싸우는 문자전쟁 시작 [한글 살리고 빛내기28] 한글전용 반대하는 모임인 ‘어문회’가 나타나다 리대로 1968년 박정희 대통령이 1970년부터 한글전용 정책을 강력하게 펼치겠다고 발표했을 때에 나는 기뻤고 앞으로 그 정책이 잘 시행될 것이라 믿었다. 정부가 국민의 소리를 귀담아 듣고 정책..

카테고리 없음 2021.06.20

한글 살리고 빛내기 27] 한글전용 정책이 잘 추진될 것으로 믿었다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89&section=sc16&section2=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89 www.jabo.co.kr 한자로 된 국회 휘장과 의원 이름패를 한글로 바꾸다 [한글 살리고 빛내기 27] 한글전용 정책이 잘 추진될 것으로 믿었다 리대로 1968년 발표한 한글전용정책 실천 계획을 보면 모든 공문서와 교과서는 말할 것이 없고 신문까지도 1970년부터 한글로 쓴다고 했다. 그 한글전용 정책 실천으로 1970년부터 교과서를 한글전용으로 되돌아갔고, 1971년 8대 국회에서 한자 ‘國’으로 된 국회 휘장과 국회의원 보람(배지), 국회의원 이름패를 8대 국회 때에 한글로 바꾸었다. 1961년..

한글사랑 2021.06.12

26살에 쓴 한글 살리고 빛내기 글(박정희 정부가 한글정책 잘 추진할 줄 믿었다)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89&section=sc16&section2=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89 www.jabo.co.kr 한자로 된 국회 휘장과 의원 이름패를 한글로 바꾸다 [한글 살리고 빛내기 27] 한글전용 정책이 잘 추진될 것으로 믿었다 리대로 1968년 발표한 한글전용정책 실천 계획을 보면 모든 공문서와 교과서는 말할 것이 없고 신문까지도 1970년부터 한글로 쓴다고 했다. 그 한글전용 정책 실천으로 1970년부터 교과서를 한글전용으로 되돌아갔고, 1971년 8대 국회에서 한자 ‘國’으로 된 국회 휘장과 국회의원 보람(배지), 국회의원 이름패를 8대 국회 때에 한글로 바꾸었다. 1961년..

카테고리 없음 2021.06.12

[한글 살리고 빛내기25] 한글사랑은 말보다 실천, 우리글로 이름쓰자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88&section=sc16&section2= [대자보] 한자이름 李澤魯, 한글이름 ‘이대로’로 바꾸다 우리겨레는 5000여년 긴 역사를 가진 겨레로서 그 옛날부터 우리말이 있었으나 우리 글자가 없어서 2000여 년 전 삼국시대부터 중국 한자를 빌려서 말글살이를 했다. 그래서 사람 이름도 金庾信( www.jabo.co.kr 한자이름 李澤魯, 한글이름 ‘이대로’로 바꾸다 [한글 살리고 빛내기25] 한글사랑은 말보다 실천, 우리글로 이름쓰자 리대로 우리겨레는 5000여년 긴 역사를 가진 겨레로서 그 옛날부터 우리말이 있었으나 우리 글자가 없어서 2000여 년 전 삼국시대부터 중국 한자를 빌려서 말글살이를 했다. 그래서 사람 이름도 ..

한글사랑 2021.06.05

오천년 역사상 처음 우리 말글로 이름짓는 시대 열다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76&section=sc16&section2=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76 www.jabo.co.kr 오천년 역사상 처음 우리 말글로 이름짓는 시대 열다 [한글 살리고 빛내기25] 한글 이름짓기 혁명을 일으킨 서울대 국어운동학생회 리대로 1967년 5월 8일에 서울 문리대 교정에서 서울대 국어운동대학생회(회장 이봉원)는 ‘고운 이름 뽑기’ 행사를 했다. 첫 회에 금상에 금수현(작곡가)님 아들딸인 금난새 형제(금 난새-내리-누리-노상)가 뽑혔다. 은상에는 민 달래, 오 귀염, 장려상에는 신 봄메, 김 송이, 장 푸르메-슬기로-다사로-하아루, 박 한미리-한누리-한서리-한길-한수리..

한글사랑 2021.05.26

한글단체들 세종대왕 나신 곳을 빨리 찾아 자주문화 성지로 꾸미자

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38369&section=sc16 [대자보] 5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624돌 기려 5월 15일 오전 10시에 세종대왕 태어나신 624돌을 맞이해 서울 종로구 통인동 길가에 있는 세종대왕 나신 곳을 알리는 표지석 앞에서 한글단체와 세종대왕 후손들이 모여 세종대왕 나신 날 축하 www.jabo.co.kr 월 15일 세종대왕 나신 624돌 기려 [행사] 한글단체들 세종대왕 나신 곳을 빨리 찾아 자주문화 성지로 꾸미자 리대로 5월 15일 오전 10시에 세종대왕 태어나신 624돌을 맞이해 서울 종로구 통인동 길가에 있는 세종대왕 나신 곳을 알리는 표지석 앞에서 한글단체와 세종대왕 후손들이 모여 세종대왕 나신 날 축하 행사를 하고, 이날 오..

사는 이야기 2021.05.19

불쌍한 한글이름 '한국통신' 2002.

http://www.jabo.co.kr/624 [대자보] 불쌍한 ‘한국통신’ 한심스런 ‘KT’한글이름 버리고, 돈들여 광고하고, 요금을 내려 {IMAGE1_LEFT}오늘 신문을 보니 케이티가 ‘한국통신’이란 이름을 버리고도 그 걸 지키기 위해 땀 빼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난 그 보도를 보면서 “한심한 케이티, 불쌍한 한국통신!”이란 말이 www.jabo.co.kr 불쌍한 ‘한국통신’ 한심스런 ‘KT’ 한글이름 버리고, 돈들여 광고하고, 요금을 내려라!!ba.info/css.htm 이대로 {IMAGE1_LEFT}오늘 신문을 보니 케이티가 ‘한국통신’이란 이름을 버리고도 그 걸 지키기 위해 땀 빼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난 그 보도를 보면서 “한심한 케이티, 불쌍한 한국통신!”이란 말이 입에서 저절로 ..

한글사랑 20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