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때 나온 독립신문 논설 읽고 나라 걱정하기. 아래 글 원문과 다른 글을 볼 수 있는 글쓰기신문 주소. http://www.swritingwork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9&fbclid=IwAR0TolssXg4QgCuP5hOM1Z9NxWf8GnjUHb2Lk80rfyF13WE2bXv-1Gs_qjs 일본은 조선을 형제국으로, 조선인민을 친구로 대하라 리대로 한국어인공지능학회 회장 승인 2020.01.19 15:47 댓글 0페이스북트위터카.. 사는 이야기 2020.01.20
한글이 빛나야 겨레도 빛나죠” [나의 삶 나의 길] “영어 섞어 쓰면 멋지나요?… 한글이 빛나야 겨레도 빛나죠” [나의 삶 나의 길]관련이슈나의 삶 나의 길 입력 : 2019-10-19 11:19:17 수정 : 2019-10-19 11:19:1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52년째.. 한글사랑 2019.10.25
영어 마구쓰기, 대통령이 나사서 막아라! 영어 마구쓰기 말썽, 대통령이 나서서 막아라![논단] 정부가 영어 혼용 부채질, 나라 말글 지키고 빛내야 얼 찬 나라가 된다! 리대로 지난날 한자와 한문 섬기는 버릇 때문인지 오늘날엔 미국말인 영어 섬기기가 지나치다. 한 나 라의 말은 그 나라 얼이고 정신이다. 그 나라말이 바로 서면 .. 한글사랑 2019.10.11
'한말글'이란 이름이 생긴 부끄럽고 슬픈 이야기 [한말글 독립운동 발자취(1)] ‘한말글’ 이름 생긴 슬픈 사연 리대로 한국어인공지능학회 회장 승인 2019.05.06 10:20 댓글 0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URL복사기사공유하기프린트메일보내기글씨키우기일제강점기 '국어'가 일본말 되어 우리말을 '국어'로 부르지 못해 1980년대 국어운동대학.. 글짓기 2019.05.10
절강월수외대를 떠나는 모습 이대로교수 한국문화연구소 객좌연구원으로 ( 2009년 01월 15일 16시 42분 52초 ) NAME : 리광인 | HOME : http:// VOTE : 1 | HIT : 52 이대로교수 한국문화연구소 객좌연구원으로 이대로교수 오늘 절강월수대 떠나 귀국 절강월수외국어대 한국문화연구소에서는 오늘 귀국하는 한국인 이대로교수님을 한국문화연구.. 사는 이야기 2009.01.20
중국 활동을 마치고 귀국합니다. 중국 절강성에 한국어와 태권도, 한국문화 심기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월수외대에 태권도·서예를 학과목으로 만들다 이대로 중국 절강성 소흥은 중국의 단군이라고 불리는 하나라의 우왕의 릉인 대우릉이 있고, 월나라의 수도였기에 월나라궁터가 있으며, 현대 중국 문학의 상징인 노신과 현대 .. 사는 이야기 2009.01.13
한국문화 알리기 바쁜 하현봉 상해문화원장 “우리문화 알리기, 기업과 국민이 관심가져야”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한국문화 알리기 바쁜 하현봉 한국상해문화원장 이대로 2008년이 저물어 가는 12월 중순, 중국에 있는 한국상해문화원에 가서 하현봉 원장을 만나보았다. 1년 전에 방문했을 때 하 원장은 문화원을 여는 데도 남다른 노력을 했.. 사는 이야기 2008.12.17
한국이 중국 조선족 동포에게 준 게 무엇인가? 한국이 중국 조선족에게 준 것이 무엇인가?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이제 한국과 조선족이 함께 새 역사를 쓰자 이대로 나는 한 달 전 중국 흑룡강성에서 태어나고 자란 조선족 동포 한 분을 만나서 술을 한 잔 한 일이 있다. 그는 나와 같이 중국 절강월수외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조선족 동료 교.. 사는 이야기 2008.12.01
중국내 한국어 교육열풍은 식지 않는다. 중국내 한국어 교육열, 빨라지고 뜨거워진다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한국과 중국은 역사, 문화, 지리상 가까운 나라 이대로 2008년 9월 16일 치 길림신문 보도를 보면 “지금 정확한 통계는 아니지만 중국 내에 한국어과를 설치한 대학은 2-300개에 달할 것이다. 현재 국가 교육부에 정식 등록한 한국어(.. 카테고리 없음 2008.11.08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실과 문제 http://cafe.daum.net/hangugmal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실과 문제 중국 절강월수외대 한국어과 교수 이대로 [머리말]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지구촌이라고 할 정도로 세계 여러 나라가 가까워졌다. 그래서 세계인들이 서로 다른 나라의 말을 많이 알아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고 서로 많이 배우고 있다. .. 사는 이야기 2008.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