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중국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실학자들과 오늘날 영어 공용어 주장자들 조선시대 중국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실학자들[논단] 한글은 오랑캐글로 폄하, 지금의 영어 공용론자가 무엇이 다른가? 리대로 1500년 전 신라가 중국 당나라와 손잡고 힘을 키운 뒤에 고구려와 백제를 무너트린 뒤 경덕왕(서기 750년) 때엔 중국 제도와 지명, 한문과 문화를 섬기면서 뿌리.. 한글사랑 2019.11.28
고종 때 독립신문 논설을 읽고 나라가 망할 때 형세 살펴보기 조선 전국 인민을 위하여 무슨 말이든 전한다[대한제국 독립신문 1호 논설] 130년 전과 비슷한 오늘날 나라 형세 살펴보기 리대로 나라가 쓰러져가는 1896년에 나온 독립신문 1호 광고와 논설 오늘날 나라 형세가 나라가 기울던 대한제국 때와 너무 비슷하다. 아니 그 때보다 더 어려운지도 .. 사는 이야기 2019.11.20
한말글로 이름 짓기는 겨레 빛내는 첫걸음 한말글로 이름 짓기는 겨레 빛내는 첫걸음[제안] 외국말글 말고 우리 모두 한말글 이름 짓기 전문가가 됩시다! 리대로 우리는 5000년 긴 역사를 가진 겨레지만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중국 한자로 지은 중국식 이름이었다. 사람 이름만 그런 것이 아니고 땅이름, 관직과 단체 이름도 그.. 사는 이야기 2019.07.15
배달겨레여! 우리 말글로 이름 짓고 쓰자! 배달겨레여! 우리 말글로 이름 짓고 쓰자![현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와 한글이름연구소들 한글단체 광화문서 기자회견 리대로 지난 3월 7일 광화문 세종대왕동상 앞에서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글학회. 한글이름연구소, 한국어인공지능학회 들 20개 한글단체들과 한글이름을 가진 김슬옹.. 사는 이야기 2019.07.15
3.1운동 100주년, 한글이름 독립을 선언하노라! HOME >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3.1운동 100주년, 한글이름 독립을 선언하노라!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한 회사원 모두 제 이름 한글로 짓고 발표 리대로 올해 4월 11일은 3.1독립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래서 한글이름연구소와 한글학회 들 한글단.. 사는 이야기 2019.07.15
이제는 남북 언어 통합방안을 준비할 때다 HOME >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이제는 남북 언어 통합방안을 준비할 때다[현장] 한글학회 세종대왕 태어나신 622돌 전국 국어학학술대회 열어 리대로 2019년 5월 10일 한글회관 얼말글 교육관에서 한글학회(회장 권재일)는 세종대왕 나신 622돌 세종날을 앞두고 “남북언어 통합방안”이.. 사는 이야기 2019.07.15
서울시의 세종대왕, 이순신 홀대, 땅과 길에 그나라 발자취 서려있어 HOME >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 생가터 사라지나?[논단] 서울시의 세종대왕, 이순신 홀대, 땅과 길에 그나라 발자취 서려있어 리대로 우리겨레는 5000년 동안 이 땅에 살아왔다. 우리 겨레가 살아온 한곶이(한반도)와 동북아시아 곳곳에 우리 한아비들의 발자취.. 사는 이야기 2019.07.15
무빙워크’는 ‘움직길’, ‘에스컬레이터’는 ‘움직사다리’ HOME >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 ‘무빙워크’는 ‘움직길’, ‘에스컬레이터’는 ‘움직사다리’ [논단] 우리식 말과 글, 외국말을 그대로 쓰지 말고 우리말로 바꿔 쓰자. 리대로 공항이나 지하철을 타려고 가다보면 가만히 서 있어도 앞으로 가는 기계가 있다. 바로 움직이는 길이다... 사는 이야기 2019.07.15
세종대왕 나신 곳, 인왕산 일대를 자주문화 성지로 바꾸어야 어떻게 하면 세종대왕이 나신 곳을 찾을까?[논단] 세종대왕 나신 곳, 인왕산 일대를 자주문화 성지로 바꾸어야 리대로 어진임금뫼(仁王山)는 서울 경복궁 서쪽에 있는 뫼다. 옛날엔 청와대를 바라보는 곳이라 마음대로 오르지 못했는데 요즘 풀려서 누구나 마음대로 오를 수 있다. 그런데 .. 사는 이야기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