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23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6:29|facebook 나는 날마다 한글날이다. 한글날을 맞이하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이다. 다음 한글날은 더 좋은 일이 많기를 바란다는것이다. 자나 깨나 한글을 생각하며 살아서 그 버릇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종대왕이 태어난 곳과 한글을 만든 곳을 살펴보기 제가 "한글 길을 .. 카테고리 없음 2013.10.23
2013년 10월22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4:49|facebook 실천부문 외솔상을 받은 이봉원님은 나와 함께 국어운동대학생회 활동을 시작으로 오늘까지 함께 움직인 뜻벗이다. 서울대 국어운동대학생회 초대 회장으로 고은이름자랑하기 행사를 십수 년 동안 하면서 이 땅에 한말글로 이름을 짓는 바람을 일으킨 사람이다. 통일.. 카테고리 없음 2013.10.22
2013년 10월21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4:14|facebook 깊은 밤, 다시 오리 선생님을 생각합니다. 나는 일생동안 한글운동을 하면서 많은 분을 모셨고 만났습니다. 별 사람이 다 있었습니다. 저만 잘난 체 하는 이도 있고, 제 이익만 챙기는 이도 있었습니다. 이 분은 참으로 훌륭한 분이었습니다. 제가 중국에 있을 때 스승이.. 카테고리 없음 2013.10.21
2013년 10월20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6:13|facebook 《한흙‘大地’》에서 읽는 재일문학의 고갱이 (1) -뙤약달- - 얼레빗 koya.egreennews.com [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뙤약달 (8월) 한밝 김리박 세 더위첫 더위 왔구나 가운데는 붙이고끝더위는 큰놈인지 굵기만 하느니한더위 이겨내자니 ... 이대로 06:19|facebook 일본은 3도, 우.. 카테고리 없음 2013.10.20
2013년 10월19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6:18|facebook 논에 벼가 익어가는 모습은 언제 봐도 좋습니다. 넉넉하고 푸근합니다. Mobile Uploads 이대로 07:08|facebook 우리나라 거리에서도 영어 간판보다 한말글 간판이 더 많이 보이길 바라고 빕니다. Photos from 이대로's post in 광화문 한글 현판을 바라는 사람들의 모임 인도는 영어가.. 카테고리 없음 2013.10.19
2013년 10월18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9:09|facebook 오늘도 해가 떴습니다. 이대로 09:12|facebook 오늘 김빛찬 얼벗이 문을 여는 가게입니다. 5호선 광화문 역 1번과 8번 출구 바로 앞 로얄빌딩 지하입니다. 개업을 축하합니다. 이대로 09:31|facebook 조종국 상쾌한 아침...풍성하다...^^ 이대로 10:30|facebook Timeline Photos 통일뉴스에 .. 카테고리 없음 2013.10.18
2013년 10월17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3:48|facebook 바다에 두둥실 떠오르는 해. 아침 해 어둠을 몰아내고 온 누리를 밝히는 아침 해 온 목숨을 이어가게 따뜻한 햇빛을 비춰주는 해 새싹을 자라게 하고 열매를 맺에 익게 해주는 해 추위를 밀어내고 포근한 삶을 갖게 하는 해 고맙고 아름다운 해가 바다위로 쑥 솟아오른.. 카테고리 없음 2013.10.17
2013년 10월16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5:41|facebook 中 거주 재외동포 257만명, 2년 전보다 감소 [온라인 중국정보 온바오 ONBAO.COM] onbao.com 꾸준히 증가하던 재외동포 수가 최근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중국 내 재외동포 수는 2년 전보다 5% 가까이 줄어들었다. 연합뉴스 등 국내 언론은 외교부가 최근 발표한 '재외동포현.. 카테고리 없음 2013.10.16
2013년 10월15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6:01|facebook Timeline Photos 문득, 생각이 났어요. 가을이란 계절이 있다는 것을... 이대로 06:31|facebook [한글날 특집] 위대한 문자,한글의 재발견 bit.ly 이대로 06:47|facebook 어제 갑자기 한 방송에서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들거나 한글운동을 하면서 오해나 갈등이 생겨서 껄끄러운 관계가 .. 카테고리 없음 2013.10.15
2013년 10월14일 Facebook 이야기 이대로 06:30|facebook 우리말의 낱말 사용 비율은 토박이말이 54%, 한자어가 35%, 외래어가 2%라고 한다.(“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2, 혼종어 제외) 그러니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도 한자어가 나오게 마련이다. 이런 사정을 들어 교과서에 실린 한자어를 한자.. 카테고리 없음 2013.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