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김종필과 복거일 무리는 현대판 이완용 복거일과 김종필 무리는 현대판 이완용[이대로의 우리말살리기] 보수세력들이 영어열병 일으키고 우리말글 죽여 이대로 영어 공영어론자들은 나라망치는 세력 지난 10월 20일 교육인적자원부(장관 김진표)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김장호)이 공동 주최한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 사는 이야기 2018.11.28
[스크랩]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왜 조한이중언어문자를 사용하고 있는가? 1.조한 이중언어문자사용의 필요성 연변은 전국적으로 유일한 조선족자치주와 가장 큰 조선족집거구이다. 조선언어문자는 연변조선족 공민들의 주요한 교제도구이고 연변에서 통용되는 언어문자의 하나이다. 자치주창립이래 조선언어문자는 전주 정치, 경제, 교육, 언론, 사법, 일상생.. 사는 이야기 2018.11.28
[스크랩] 한글이름짓기 상담사 교육 2기 광고문 출처 : 리대로의 한말글 사랑 한마당글쓴이 : 나라임자 원글보기메모 : 한글이름짓기 상담사 양성 교육을 받고 싶은 분은 제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사는 이야기 2018.11.27
[스크랩] 2012년 서울시장과 한글단체 대표들 만남 - 우리 말글이 살아 숨 쉬는 서울시 만들기 [보도자료] [110-061] 서울 종로구 신문로1가 58-14 한글회관 안 한글학회 부설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이대로 전화 02-725-1009. 010-4715-9190 ------------------------------------------------------------- 제목: 우리 말글이 살아 숨 쉬는 서울시 만들기 서울시장과 한글단체 실무 대표들 만남 때: 2012년 10월 4일 오.. 사는 이야기 2018.11.20
[스크랩] 세종대왕 임금되신 600돌, 고마움을 알자. HOME > 이대로의 우리말글사랑 >세종대왕 즉위 600돌, 한글 고마움도 모르나?[논단] 정부부처 아무 행사도 안하고 시민단체만 조촐하게 동상 앞 기념식 가져 리대로 9월 9일은 우리 겨레의 스승인 세종대왕이 조선 4대 임금이 된 날이다. 그래서 세종대왕즉위600돌기념국민위원회(상임대.. 사는 이야기 2018.10.12
[스크랩] 세종대왕, 이 땅에 납시어 시민과 만나다. 세종대왕, 이 땅에 납시어 시민과 이야기 나누다[현장] 우리 신문 이대로 상임고문이 한글날 행사에서 세종대왕 역을 맡다 이유현 올 한글날에 서울시청에서 한 “세종대왕 납시오.”행사에서 우리 신문인 ‘대자보’ 이대로 상임고문이 세종대왕으로 분장하고 한글단체 대표와 시민들.. 사는 이야기 2018.10.12
[스크랩] - 중국 연길에서 한글(조선글) 정보처리기술 국제학술대회 열다 NEWS11년 만에 다시 만난 남·북 정보통신 전문가들- 중국 연길에서 한글(조선글) 정보처리기술 국제학술대회 열다 By IT News - 2018년 9월 6일 남한, 북한, 중국 등 한국어 정보통신 학자와 전문가들이 11년 만에 다시 만나 한국어 정보처리와 우리글 통신기기 표준 통일에 관한 학술회의를 열었.. 사는 이야기 2018.09.07
[스크랩] 1896년에 나온 독립신문 창간사를 되새겨본다. 되새겨 본 독립신문 창간사 독립신문은 1896년 서재필이 나라에서 돈을 받아서 주시경, 헐버트와 함께 한글로만 만든 민간신문이다. 이 신문이 무엇이 무엇 때문에 남다른 가하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처음 한글만 쓴 신문이고,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했으며 그 창간사가 신문다운 신문이 되.. 사는 이야기 2018.08.06
[스크랩] 하늘나라로 가신 노회찬 의원 추모글 당신은 한말글 으뜸지킴이, 고마운 분[추모] ’진보의 별‘ 노회찬 의원 죽음을 알리는 놀랍고 슬픈 소식을 들으며 리대로 어제 7월 23일 노회찬 의원이 스스로 목숨을 버렸다는 새뜸(새소식)을 보고 가짜려니 했습니다. 아니 그러길 바라면서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습니다. 그런데 진짜 스.. 사는 이야기 2018.07.26
[스크랩] 50여 년을 한글운동에 바친 이대로 회장 이야기 '국운융성의 밑바탕에 한글이 있었다' [인터뷰] 50여년을 한글운동에 헌신하고 있는 이대로 회장의 '한글이야기' 은동기 ㅣ 기사입력 2014/10/18 [04:54] [편집자 주] 지난 9일은 568돌을 맞는 한글날 이었다. 그 과학성과 우수성으로 지구상의 모든 문자 중 최고의 찬사를 듣는 한글. 국력 신장의.. 사는 이야기 2018.07.25